안녕하세요! 카이 입니다.
쉬어가는 코너 입니다! 간단한 내용이니 사진은 별거 없고... 글은 길게 쓸 예정이지만 대충 읽으면 핵심은 딱 한줄 있어요.
설렁설렁 읽어보면서 쉬어 가자구요^^
앞서 브러시리스모터에 대해 설명이 있었죠~!
이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전자변속기 라는게 필요 합니다.
electronic speed controller 즉, ESC라고 부르는 이 부품은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부품으로...
사실상 변속기 보다는 인버터에 가깝습니다.
※자문결과, 인버터 라기보다는 모터드라이브가 맞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인버터는 모터드라이브의 한 종류로서 AC모터를 주파수 제어 하기 이한 장치이며 전자변속기는 그 역할은 동일 하지만 전압 전류의 인버팅 작업을 행하지 않으므로 인버터 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라고 하여 본 알림을 기입 합니다.(본문 수정을 하고자 하면 전체를 재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라 본문은 그대로 유지 합니다.)
여기서 인버터가 뭔가요? 하는분들 계실겁니다.
일반적으론 생소한 이름이지요.
유도전동기(주로 모터)에 공급되는 가변주파수를 만들어 내는것이 인버터 라고 간단하게만 넘어가죠. 깊게 들어가면 한도 끝도 없거든요^^
주로 많이 사용되는곳은 에어컨, 제습기 등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제품이죠.
아파트 기계실에 가 보면 열 교환기나 공기 조화기 등이 있는데, 열 교환기의 순환펌프나 공기도화기의 팬 모터도 인버터를 이용한 주파수 제어를 합니다.
인버터는 크게 4종류로 분류 할수 있는데요,
전류제어
전압제어
펄스제어
쵸퍼제어
로 나뉩니다.
자... 모터편에서 KV에 대해 설명할때 뭐라고 했었죠?
1V가 인가될때 몇바퀴를 회전하는가 하는 수치가 KV라고 설명 드렸었습니다.
이 말에서 유추해 보면? 우리가 사용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전압제어를 하는 모터 입니다.
우리가 ESC라고 부르는 이 부품은 "초소형 전압제어 인버터" 되겠습니다.
또 나중에 다룰 내용이 되겠지만... FC에서 드론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PID제어 라는것을 합니다.
어떠한 계산식에 의해 현재값을 설정값에 근접하도록 반복 계산을 하고, 그 계산에서 산출된 만큼의 출력을 내 보내는것이 PID제어 인데요, FC에서 PID계산으로 산출한 값을 변속기로 보내면 인버터네서 주파수로 그 값을 가변하고, 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로 출력하는 구조 입니다.
즉, FC에서 받은 신호를 Voltage로 변환해서 모터를 빨리 돌리기도, 천천히 돌리기도 하는것이 전자변속기 되겠습니다.
자! 그럼 중요한 내용 나가죠~!
내 드론에는 어떤 변속기를 써야 하나요?
지난시간에 다뤘던 모터의 스펙 표를 참고 하면...
프롭의 크기별로 100% 출력일때 걸리는 전류(A)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 전류보다 허용전류가 높은것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2212 모터에 10인치 프로펠러를 사용할때 100%출력이면 18A가 걸린다 라고 표기되어있다면 20A이상의 변속기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다음편 역시 살짝 쉬어가도록 하죠^^
변속기를 보면 OPTO, With BEC 등이 적혀 있는데...
다음편에는 BEC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고, 부록으로 OPTO를 간단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달기 에디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