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편리한 드론 용어(입문자용)

1. 기본용어

 

드론

원격 제어가 가능한 초소형 무인 비행물체의 총칭.

 

완구드론

드론의 완구형. 기능이 제한적이나 장난감으로서
기동하는데 문제가 없는 제품.

 

드론(센서드론)

실질적으로 드론의 범주에 속하는 무인 비행물체.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자세제어나 자동 운행 등이 가능한 초소형 무인 비행물체.

 

레이싱드론

경주를 위한 드론.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를 위해 거의 모든 센서를 배제하고 속도만을 위해
소형화, 경량화한 기체.

 

비행제한구역

비행이 제한 된 구역.

고도 150미터 이하로의 비행이 가능하지만
촬영은 금지.

서울의 경우 제한구역에서도 비행 하기 위해서는 수도방위사령부의 허가가 필요함.

 

비행금지구역

비행이 금지된 구역.

 

야간비행

일몰시간 이후에 비행하는것.

국내법상 야간비행은 불법이다.

 

 

시계비행

비행체가 육안으로 구분 되는 거리에서 비행.

국내법상 초소형 무인 비행체는 시계비행을 원칙으로 한다.

원칙적으로 FPV모니터나 고글을 사용한
비행은 시계비행이 아니기에 불법.

 

 

 

2. 제품 구성에 대한 용어

 

RTF(RTP, PNP)

– Ready to Fly(Ready to play, Plug and play)

비행을 위한 모든 구성이 포함된 제품.

기체와 배터리, 송신기 등이 모두 구비되어
구입 후 바로 비행 할 수 있는 구성.

 

BNF

– Bind and fly

송신기와 바인딩만 하면 비행이 가능한 구성.

수신기는 포함되어있으나 송신기가 포함되어있지 않다.

 

ARF(ARTF)

– Assemble Required to Fly(Almost Ready to
fly)

조립만 하면 비행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구성품이 포함된 KIT.

또는 80%가량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주요 부품(변속기, 모터)을 선정하여
설치하면 비행 할 수 있는 상태로 판매되는 제품.

 

KIT

본래 ARF의 본질적인 의미를 지니는
용어.

– ARF가 최근 Almost Ready to Fly(얼추
다 된 상태. 주요부품만 조립하면 비행할 수 있는 제품)의 의미가 강해지면서

Assemble
Required to Fly(
조립만 하면 비행이 가능한
거의 모든 구성품이 포함된 제품) KIT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종모드(모드1, 모드2)

송신기의 종류.

모드1의 경우 스로틀과 에일러론이 우측레버에 할당되고,

모드2의 경우 스로틀과 러더가 좌측 레버에 할당 된다.

실제 비행기의 조종방식에 가까운것은
모드2.

 

 

 

 

 

3. 기능에 대한 용어

 

FPV

– First Person View

1인칭 시점 이라는 의미로 드론에 카메라와 영상 송신기를 달아 조종자가 드론의
시점으로 영상을 보며 조종할 수 있는 시스템.

 

비행모드

드론을 제어하는 모드.

멀티콥터의 경우 약 14종류의 비행모드가
있다.

명칭은 제조사 마다 정리되지 않은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운다.

아래로는 비행모드중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Stabilize
모드

안정모드.

주로 수동모드 라고도 불리며 FC에서는
드론의 자세제어만 한다.

모든 조작을 수동으로 해야 하는 모드.

 

Altitude
Hold
모드

고도유지모드.

기압계를 이용하여 고도를 산출, 스로틀을 50% 중립에 두었을때 해당 고도를 유지하는 모드.

이 모드에서는 고도만 유지되고, 기체가
돌아가거나 흐르는것은 조종자가 조작하여 제어해야 한다.

 

Loiter 모드

– GPS모드.

– GPS, 기압계, 가속도계, 자이로, 지자계 등의 각종 센서를 이용해 기체를 제어하는 모드.

스로틀 50%중립에 두었을때 해당 고도를
유지하고, 지자계를 이용하여 기체의 방향을 유지하며, 가속도계와 자이로를
이용하여 GPS에서 수신한 절대좌표에서 기체가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한다.

 

 

RTL
(Return-to-Launch)
모드

백홈 모드.

– GPS를 통해 이륙한 위치의 좌표를 저장 한 후, 해당
모드로 변경되면 이륙한 위치로 되돌아 오는 모드.

 

Auto 모드

자동비행모드

미리 입력된미션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을 하는 모드.

  

Acro 모드

완전수동모드

– FC에서 드론의 제어에 대한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는 모드.

기체의 경사각 보정이 없어지므로 곡예비행, 패턴비행등을
할때 사용된다.

 

Follow
Me
모드

기체가 조종자를 따라오는 모드.

조종자의 위치를 식별 할 수 있는 GCS
있어야 하며, 드론은 설정된 거리와 고도에서 설정된 동작을 하며 조종자를 따라온다.

 

Headless
모드

기체의 조작 방향을 절대방향으로 변경하는 모드.

기수가 회전하더라도 조작방향은 이륙시의 방향에 따르는 모드.

 

 

 

 

4. 부품에 대한 용어

 

프레임

기체의 몸체.

각 부품이 이 프레임에 붙어 한기의 드론이 된다.

 

(바디, 캐노피, 하우징)

드론의 껍데기.

완성형 드론의 경우 쉘을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러가지 디자인으로 제조사의 아이덴티티를 표현 한다.

 

드론의 바디에서 뻗어나가 모터를 탑재하는 팔.

 

랜딩스키드

드론의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착륙시 기체를 지탱하는 부위.

 

송신기(Transmitter)

조종기.

드론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간혹 조정기 라고 하는 사람이 있으나, 이는
틀린 표현이다.

조종은 manipulate의 의미를
가지고 조정은 modification의 의미를 갖는다.

 

수신기(Reciver)

드론 내부에 들어가는 부품으로서 안테나가 연결되는 장치.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FC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FC(Flight Controllor)

비행 제어장치. 드론의 두뇌이자 심장.

드론을 제어하는 모든 연산을 하며 수신기 및 각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 변속기로 출력신호를 보냄.

주로 기압계와 지자계, 가속도계, 자이로 등을 내장하고 있다.

 리포배터리

드론의 연료.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줄임말.

완구용으로는 1~2셀 배터리가 사용되며, 레이싱용으로 주로 3~4, 촬영용, 크루즈용은 주로 3~6셀을 사용한다.

셀 이란 배터리의 갯수로, 2셀은 2개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한 배터리, 6셀은 6개의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한 배터리를 말한다.

셀 수가 높을수록 출력 전압이 높다.

 

ESC(Electronic Speed Controllor)

전자 변속기.

– FC에서 연산한 속도로 모터를 돌릴 수 있도록 전류제어를 하는 장치.

 

모터(로터)

프로펠러와 결합해 회전하며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

드론에는 브러시드모터, 브러시리스모터를
주로 사용 한다.

브러시드모터는 크기가 작은 장점이 있는 반면 토크나 회전수가 낮아 완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토크위주, 회전수위주의
여러 사양의 모터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른 모터를 사용한다.

 

GPS

좌표산출센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좌표를 계산해 내는 센서.

 

컴퍼스(지자계)

나침반 센서.

동서남북의 방위를 산출하는 센서

 

가속도계

중력가속도를 계산하여 지표면으로부터의 기울기를 산출해 내는 센서

 

자이로(각속도계)

가속도계로 측정할 수 없는 방위각을 산출해 내는 센서

 

소나

초음파 센서.

초음파를 바닥을 향해 쏘아 되돌아오는 음파를 감지하여 지면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센서.

 

옵티컬 플로우

비젼 포지셔닝 센서.

– CCD모듈을 이용해 바닥 지형 또는 무늬를 인지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센서.

 

풍속계(풍량계)

바람의 속도()를 산출하는 센서.

 

프로펠러

흔히들 드론이라고 말 하는 멀티로터는 날개가 없는 무익기다.

무익기는 날개 대신 프로펠러를 이용해 바람을 발생시켜 기체를 띄우고 제어한다.

 

LED

발광 다이오드.

드론의 상태 표시, 방향표시, 위치표시 등에 사용 된다.

 

부저

비프음을 내는 스피커.

주로 경보를 조종자에게 알릴때 사용 된다.

 

짐벌

수평유지장치.

주로 카메라를 짐벌에 설치하여 드론에 장착한다.

  

댐퍼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 , 방진장치.

짐벌에도 댐퍼가 붙어있고, 랜딩스키드에
댐퍼가 붙는 경우도 있다.

– FC에 댐퍼를 붙여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GCS

– Ground Control Station.

지상국을 뜻하며 조종자가 송신기 이외의 PC 등의
장치로 비행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장소.

요즘에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DJI Parrot사의 드론들이 드론 제어용으로 사용하는 앱이 있으며, 많이들 알고
있는 미션플래너도 GCS의 일종이다.

 

릴레이

– AUX를 이용하여 릴레이에 신호를 전달, 접점의 ON/OFF를 제어하는 장치.

주로 LED제어용이나 카메라 제어용으로
사용 된다.

 

영상 송신기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의 영상을 송신하는 장치.

카메라에 연결한다.

 

영상 수신기

드론에서 송출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장치.

모니터형태, 고글형태, 모듈형태가 있다.

모니터 형태는 모니터 자체에 수신모듈이 내장된 형태로 확장성은 없지만 휴대가
간편하다.

고글 형태는 말 그대로 고글처럼 생긴 HMD
쓰고 드론이 송출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숙달되기 전 까진 사고의 위험이 크다.

모듈 형태는 수신기가 내장되지 않은 모니터 또는 고글에 장착하여 영상을 수신
할 수 있다.

 

 

 

 

 

 

5. 조작관련 용어

 

스로틀

출력을 조절하는 레버.

 

러더(YAW)

기수를 회전하는 기능의 레버.

 

에일러론(ROLL)

기수를 돌리지 않고 좌측,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의 레버

 

엘리베이터(PITCH)

기수를 돌리지 않고 전방, 후방으로
이동하는 기능의 레버

 

AUX

외부입력.

드론의 제어 이외의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모드변경 스위치에 AUX채널을
할당한다.

– AUX채널이 2개 이상 남는 경우 짐벌의
제어에도 사용한다.

 

텔레메트리

주로 위성에서 데이터를 전송할때 사용되는 주파수 통신 방식.

드론에서는 FC GCS프로그램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BEC

– Break Electronic Controllor

본래는 과거의 RC카 에서 수신기 전압이
낮을경우 노콘으로 인해 차량이 발광하는것을 막기 위한 전원 차단장치.

– UBEC 라는 레귤레이터가 포함된 BEC가 발매된
이후로 본래의 의미를 잃고, BEC라 하면 높은 전압을 5V로 다운스텝
시키는 레귤레이터의 의미가 되었음.

 

서보

신호에 의해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하는 모터의 일종. 주로 날개 제어, 짐벌제어 등에 사용 한다.

 

캘리브레이션

지자계, 자이로, 변속기, /수신기 등의 설정값을 재
설정 하는 기능주로 비행 전에 행하며, 이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비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6. 은어

 

영숙이

영상 수신기 -> 영수기 -> 영숙이….

 

노콘

– No Control.

조작 신호가 미약하여 수신기로 전달되지 않아 드론의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현상.

 

○○○

드론의 사이즈를 말하는 은어

예를들어 450급 이라면 휠베이스가 450mm 인 드론을 의미함.

 

프롭

프로펠러

 

캘리

캘리브레이션

 

멀충이

멀티 충전기

 

발랑이

밸런스 충전기

 

– Km를 의미한다. 최근, 조종자의 시야 밖으로 드론을 운용하는것에 대한 위험성이 대두 되면서 사용자들 간에 은어로서 자리잡은 좋지 않은 단어.

– 1장은 1Km를 의미 한다.

 

 

 

[이 게시물은 Wild Cats님에 의해 2017-10-24 23:35:04 강좌에서 복사 됨]

Visits: 44

Keep Reading

이전다음

댓글

답글 남기기